문제

과일 장수가 사과 상자를 포장하고 있습니다. 사과는 상태에 따라 1점부터 k점까지의 점수로 분류하며, k점이 최상품의 사과이고 1점이 최하품의 사과입니다.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.

  • 한 상자에 사과를 m개씩 담아 포장합니다.
  • 상자에 담긴 사과 중 가장 낮은 점수가 p (1 ≤ p ≤ k)점인 경우,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p * m 입니다.

과일 장수가 가능한 많은 사과를 팔았을 때,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계산하고자 합니다.(사과는 상자 단위로만 판매하며, 남는 사과는 버립니다)

예를 들어, k = 3, m = 4, 사과 7개의 점수가 [1, 2, 3, 1, 2, 3, 1]이라면, 다음과 같이 [2, 3, 2, 3]으로 구성된 사과 상자 1개를 만들어 판매하여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.

  • (최저 사과 점수) x (한 상자에 담긴 사과 개수) x (상자의 개수) = 2 x 4 x 1 = 8

사과의 최대 점수 k, 한 상자에 들어가는 사과의 수 m, 사과들의 점수 score가 주어졌을 때,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
입력

  • 3 ≤ k ≤ 9
  • 3 ≤ m ≤ 10
  • 7 ≤ score의 길이 ≤ 1,000,000
    • 1 ≤ score[i] ≤ k
  •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return 해주세요.

프로그래머스 모든 문제 풀기 도전 시작!

처음엔 score를 정렬하고 박스를 구성할 때 가장 높은 점수의 사과를 우선적으로 넣어 주면 최대 이익을 낼 수 있는게 아닌가 생각했다.

잠시 위 로직이 올바른지 헷갈렸는데 아래의 예를 살펴 보자.

k = 3, m = 3, score = {1, 2, 2, 2, 3, 3} 의 경우 위 로직대로면

[3, 3, 2], [2, 2, 1] 로 박수가 구성되는데 

이 때 [3, 3, 2]에서 2를 사용하면서 [2, 2, 2] 로 박수를 구성할 수 있던 것이 [2, 2, 1]로 구성이 변경되게 된다. 

따라서, 2사용에 주의해야 하는게 아닌가 생각했지만, 어느 쪽에 2를 배치해도 얻을 수 있는 이익은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한 뒤 처음 생각했던 로직대로 구현 했다.

 
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algorithm>
using namespace std;

int solution(int k, int m, vector<int> score) {
    int answer = 0;
    
    sort(score.begin(), score.end());
    
    while(score.size() >= m){
        for(int i = 1; i <= m-1; i++) score.pop_back();
        answer += m * score.back();
        score.pop_back();
    }
    return answer;
}

이렇게 O(n) 시간 복잡도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.

 

아래 코드는 slg126님의 풀이 코드이다.

같은 시간 복잡도를 갖지만 연산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좀 더 효율적인 코드이다.

 

#include <vector>
#include <algorithm>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
int solution(int k, int m, vector<int> score) {
    int answer = 0;

    sort(score.begin(), score.end(), greater());


    /*for(int i = 0 ; i < score.size() ; i += m){
        answer += score[i + m - 1] * m;
    }*/
    int box_num = score.size() / m;
    int cur = m - 1;
    for(int i = 0 ; i < box_num ; i++){
        answer += score[cur] * m;
        cur += m;
    }

    return answer;
}